소개

조현병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라는 뜻으로 조율되지 않은 현악기처럼 혼란스러운 심리상태를 말합니다.

100명 중 1명이 걸릴 수 있는 비교적 흔한 뇌질환 중 하나로 현실검증력이 손상되어 비현실적인 지각과 비논리적인 사고를 나타내며,
사회적 지위, 교육 수준과는 관계없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증상

양성증상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증상

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등

환각

환청, 환시, 환후, 환촉, 환미 등

와해된 언어

지리멸렬, 사고우원증,
신어조작증 등

심게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

계절감에 맞지 않는 옷 착용,
근육이 굳은 것처럼 특정한
자세를 유지 등


음성증상

보편적인 감정반응이나 행동이 감소하고 둔한 상태

감소된 행동·정서표현

무표정, 눈맞춤, 언어사용,
움직임 저하 등

사고의 빈곤

짧고 간단하고 공허한 대답,
언어 유창성 저하

무의욕증

목표지향적 행동의 어려우며
의욕의 저하

대인관계 무관심

일상생활과 사회적 활동에
무관심

치료

치료의 대원칙은 조기발견, 조기치료 및 재발방지이며, 발견과 치료가 빠르면 빠를수록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 것과 환자 자신의 탄력성, 대응기술,
가족과 동료들의 지지 등이 회복에 기여합니다.

약물치료

가장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약물은 ‘항정신병 약물’입니다. 조현병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기에,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주는 약물치료로
망상, 환각, 불안 등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심리사회적치료

조현병을 오래 앓은 사람들의 경우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상담,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등 사회적 상황에 대처하는 기술을
배워 사회에 복귀를 돕는 치료방법입니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약물치료와 병행하였을 때 효과성이 더욱 좋으며 재발률이 감소됩니다.